본문 바로가기

곤충 · 동물

꼬마 꿀벌

 

 

 

 

 

아직 일을 하기는 어린 벌인듯 ~

조그만 날개도 앙증스럽고.

온 몸에 꽃가루를 뭍치며 ~

 

딩굴 ~ 딩굴 ~

 

노는 모습도 넘 귀엽다.

 

 

 

 

 

 

 

 

 

 

 

꿀벌(honeybee)


분류 : 절지동물 > 곤충강 > 벌목 > 꿀벌과 

크기 : 약 1.5cm 

학명 : Apis 

원산지 : 아시아 (대한민국,일본,중국) 

서식지 : 산지, 나무 

임신기간 : 약 3일 

위기도 : 낮은위기 


* 주로 양봉꿀벌을 가리키는 말로 유럽양봉종, 서양꿀벌이라고도 알려졌다.

길이는 약 1.2㎝인데 계통에 따라 크기와 색깔이 다르다. 2개의 큰 겹눈과 3개의 홑눈을 가졌으며 2개의 더듬이를 가지고 있다.
일벌, 여왕벌, 수벌의 3계급으로 구성된 사회생활을 한다.

여왕벌이나 일벌 모두 산란하지만 여왕벌의 알만 정자와 수정하여 암벌이 되고 일벌의 알은 수벌이 된다.

지속적으로 로열젤리를 먹는 유충이 여왕벌로 변한다.

유충이 번데기로 변태한 후 16일 만에 여왕벌이, 3일 만에 일벌이, 일벌이 나온 이후 며칠 뒤 수벌이 나온다.
투쟁에서 한 마리의 여왕벌만 살아남는데 이 여왕벌이 그곳에 먼저 있던 여왕벌을 공격하여 여왕벌과 벌떼를 다른 곳으로 쫒아낸다.

벌집은 일벌 몸에서 산출된 밀랍물질로 만들어진다.

 

 

 

여기에는 꿀을 만드는 벌 모두가 포함되며, 더 엄밀히 말하면 꿀벌속(―屬 Apis)에 속하는 4가지 벌을 말한다.

그렇지만 꿀벌이라는 말은 보통 양봉꿀벌(Apis mellifera) 한 종(種)을 가리키는 말로, 양봉꿀벌은 유럽양봉종 또는 서양꿀벌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꿀벌속의 다른 종들은 아시아에 국한되어 있는데,

애꽃벌(A. florea)은 작은 꿀벌로 중앙아시아에서 나무에 둥지를 지어 살고, 큰꿀벌(A. dorsata)은 인도, 인도네시아,

중국 중부에서 살며, 직경이 거의 3m나 되는 벌집을 만들기도 한다.


동양재래종(A. cerana)은 아시아 지역(한국 포함)에서 살고 있다. 이밖에도 꿀벌속에 속하는 수많은 품종·아종·계통(strain)이 있다.


양봉꿀벌(A. mellifera)은 길이가 약 1.2㎝이지만 계통에 따라 크기가 다르며, 머리·가슴에는 강모가 나 있고 계통에 따라 색깔도 다양하다.

2개의 큰 겹눈과 3개의 홑눈은 머리 꼭대기에 있으며 예리한 시력과 함께 예민하게 냄새를 감지할 수 있는 2개의 더듬이를 가지고 있다.


모든 꿀벌은 둥지나 벌통에서 함께 사회생활을 하며 3가지 계급으로 되어 있는데 덜 발달한 암컷인 일벌,

일벌보다 큰 여왕벌, 일벌보다 크고 이른 여름에만 볼 수 있는 수벌이 있다. 일벌과 여왕벌은 침이 있으나 수벌은 없고,

여왕벌이나 일벌은 다같이 산란하지만 여왕벌의 알만 수벌의 정자와 수정하여 암벌로 발달하고 일벌이 낳은 알은 수벌로 된다.


여왕벌은 여왕벌로 부화되는 것이 아니고 일벌의 타액선(唾液腺)에서 분비되는 물질인 로열젤리를 먹을 때 여왕벌로 되는 것이다.

알은 3일 만에 부화하여 유충이 된다.

처음에는 모든 유충이 로열젤리를 먹으나, 나중에는 여왕이 될 것만 계속해서 먹는다.

완전히 성장하면 유충은 번데기로 변태하고, 16일 만에 여왕벌이, 3일 만에 일벌이, 그리고 일벌이 나온 며칠 후에 수벌이 나온다.

우화(羽化)된 후 여왕벌은 자기들끼리 투쟁하여 단 한 여왕벌만 둥지에 남게 되는데

이 여왕벌은 그곳에 먼저 있던 여왕벌을 공격, 둥지에 있던 벌떼가 다른 곳에 가서 새로운 사회를 이룩하게 한다.

벌집은 일벌 몸에서 산출된 밀랍물질로 만들어진다. 이것은 2겹으로 된 6면의 작은 방으로서 꿀과 화밀(花蜜),

꽃가루로 만드는 벌밥(beebread) 형태의 식량들이 그 방에 저장되어 있다.

 

 

 

 

 

 

 

  

'곤충 · 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범나비와 털중나리  (0) 2016.06.26
표범나비와 구절초  (0) 2015.11.06
꿀벌과 좀바위솔  (0) 2015.10.23
박각시와 용담  (0) 2015.10.23
벌과 구절초  (0) 2015.10.16
Recent Posts
Popular Posts
Tags
더보기
Recen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