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

국화

 

 

 

 

 

 

 

 

 

 

 

 

 

 

 

 

 

 

 

 

 

 

 

 

 

 

 

 

 

 

 

 

 

국화


성격 : 식물, 꽃 

유형 : 동식물 

분류 : 국화과 

학명 :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분야 : 과학/식물 


가장자리는 불규칙한 톱니모양이다.

가을철에 원줄기 윗부분의 가지 끝에 두상화(頭狀花 : 꽃)가 달리는데,

두화(頭花) 주변의 꽃은 설상화(舌狀花)이고 중앙부에는 관상화(管狀花)가 있다.

열매는 수과(瘦果)이다.


오래 재배해 오는 동안 많은 변종이 개발되었으며, 꽃의 지름에 따라 18㎝ 이상인 것을 대륜(大輪),

9㎝ 이상인 것을 중륜, 그 이하의 것을 소륜으로 구별한다.


또, 꽃잎의 형태에 따라 후물(厚物)·관물(管物) 및 광물(廣物)로 크게 나눈 다음 세분하기도 한다.

꽃을 말린 것을 베개 속에 넣으면 두통에 유효하고, 이불솜에 넣으면 그윽한 향기를 즐길 수 있으며,

국화술[延命酒]을 빚어 먹기도 한다.


국화는 매화·난초·대나무와 함께 일찍부터 사군자의 하나로 지칭되어왔다.

뭇 꽃들이 다투어 피는 봄·여름에 피지 않고 날씨가 차가와진 가을에 서리를 맞으면서

홀로 피는 국화의 모습에서 우리의 선인들은 고고한 기품과 절개를 지키는 군자의 모습을 발견하였던 것이다.


그래서 국화를 일컬어 오상고절(傲霜孤節)이라고 한다.

중국에서는 도연명(陶淵明)이 국화를 가장 사랑하였다고 알려져 있으며,

주무숙(周茂叔)은 <애련설 愛蓮說>에서 “국화지은일자야(菊花之隱逸者也)”라고 하였다.


국화는 군자 가운데서도 ‘은둔하는 선비’의 이미지에 잘 부합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국화가 언제 우리 나라에 전래되었는지 정확히는 알 수 없으나 조선 세종 때 강희안(姜希顔)이 지은 ≪양화소록 養花小錄≫에는

고려 충숙왕 때 중국의 천자가 보낸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중국에서는 음력 9월 9일, 곧 중양절에 국화주를 가지고 등고(登高)하는 풍습이 있었다고 하는데,

우리도 9월 9일에 민간에서 국화주를 담가 먹는 풍습이 있었다.


고려가요 <동동 動動> 9월령에 “9월 9일애 아으 약이라 먹논 황화(黃花)고지 안해 드니 새셔가만 얘라 아으동동다리” 라고 하였으니,

중양절에 국화주를 담가 먹었고 그것을 약주로 인식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고,

또한 고려시대에 이미 우리 나라에도 국화가 있었음도 알 수 있다.


청양 지방의 <각설이타령>에도 “9월이라 9일날에/국화주가 좋을시고”라는 구절이 있고,

경상북도 성주지방의 민요에도 “뒷동산 쳐다보니/국화꽃이 피었고나/아금자금 꺾어내여/술을 하여 돌아보니/친구하나 썩 나서네.”라는 구절이 있다.


국화는 한국의 고전문학, 특히 시조에서 도화(桃花)·매화와 함께 자주 제재로 등장하였는데,

그 중에서 송순(宋純)의 <자상특사황국옥당가 自上特賜黃菊玉堂歌>와 이정보(李鼎輔)의 작품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풍상이 섯거친 날에 피온 황국화를/금분(金盆)에 득 다마 옥당에 보내오니/도리(桃梨)야 곳이오냥 마라 님의 뜻을 알괘라.”는 송순의 작품이고,

“국화야 너는 어이 삼월춘풍 다 지내고/낙목한천(落木寒天)에 네 홀로 픠엿니/아마도 오상고절은 너뿐인가 노라.”는 이정보의 작품이다.

속담에는 ‘짚신에 국화 그리기’라는 말이 있는데,

이것은 격에 맞지 않는 짓을 하거나 주가 되는 것이 천해서 화려하게 꾸미는 것이 당치 않을 때 이를 비유하는 것이다.

 

 

 

 

 

 

 

   

'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쓴풀  (0) 2015.10.28
좀바위솔  (0) 2015.10.27
정선바위솔  (0) 2015.10.27
꿀벌과 만수국아재비  (0) 2015.10.26
광대나물  (0) 2015.10.25
Recent Posts
Popular Posts
Tags
더보기
Recent Comments